1931년 9월 18일 밤, 중국 펑톈(奉天: 현재 선양) 교외 류탸오후에서 일본 남만주철도의 선로가 폭파되는 사건(류탸오후 사건)이 발생. 만주사변은 일차적으로 1931~1933년 류탸오후 사건부터 정전 협정에 이르기까지, 일본군이 중국 만주 및 내몽고 지역을 침략한 전쟁을 가리키며 중국에서는 ‘9·18사변’이라고 부르며 당시 국제연맹은 일본의 침략으로 판단해 만주국을 승인하지 않고 일본군의 철수를 권고
1932.01.28
일본 해군, 유곽의 일종인 대좌부(貸座敷)를 기초로 상하이에 최초의 해군위안소 설치
1932.03
자료 더보기
일본 육군 참모부장 오카무라 야스지(岡村寧次), 해군위안소를 모델로 상하이파견군을 위한 육군위안소 설치
일본 사회당 모토오카 쇼지(本岡昭次) 의원,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강제동원 문제의 조사, 그리고 진상 규명을 포함해 1990년 10월 17일 한국의 여성단체들이 공개 서한을 통해 요구한 사항에 대해 일본 정부의 답변을 요청. 이에 대해 노동성 와카바야시 유키노리(若林之矩)는 조사를 했으나 강제동원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고, 가이후 도시키(海部俊樹) 총리는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변.
1991.04.24
주한 일본대사관 오노 마사아키(小野正昭) 참사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1990년 10월 17일 일본 정부에 송부한 진상 규명 요구에 대해 "일본 정부가 조사했으나 여성을 강제 동원한 사실이 없고, 1965년 한일협정으로 보상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구두로 답변
1991.05.31
일본 도쿄에서 제1차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 개최. 한국, 북한, 일본의 여성들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
1991.05
일본 오사카에서 '조선인 종군위안부 문제를 생각하는 회' 설립
1991.07.18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국회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의 협력을 요청하는 청원서 제출
1991.08.11
우에무라 다카시(植村隆), 일본 오사카 지역 『아사히신문』에 일본군 '위안부' 최초 보도
1991.08.14
자료 더보기
김학순(당시 67세), 기자회견을 개최하여 본인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 밝히며 생존자로서 최초 공개 증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반핵 평화운동연합 등 6개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일본 군국주의 부활 저지와 전후 책임을 확실히 하는 연대회의' 발족
1992.07.31
한국 정부, 외무부 등 17개 정부 부처로 구성된 '정신대문제실무대책반'이 1992년 1월부터 실시한 조사결과와 1992년 7월 발표된 일본 정부의 조사결과를 정리한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를 발표하고 '위안부' 모집에 강제력이 행사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일본 정부에 대책 촉구
1992.08.10
자료 더보기
서울에서 '제1차 정신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한국, 필리핀, 대만, 태국, 홍콩, 일본 등 6개국 참가(~1992.08.11.)
이가라시 고조(五十嵐広三) 일본 관방장관, 기자회견 통해 민간기금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우호기금'(가칭) 설립 준비 상황 발표
1995.05
자료 더보기
UN 인권소위원회 '전시 하 조직적 강간, 성노예제 및 그와 유사한 관행' 문제 특별보고관 린다 차베즈(Linda Chavez), 필리핀(5.19~5.22), 한국(5.23~27), 일본(5.27~5.31)을 방문하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인터뷰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 조사 수행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ILO 제29호 강제노동협약을 위반한 것이므로 이에 대해 일본 정부가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언급한 첫번째 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보고서.
워싱턴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Washington Coalition for Comfort Women Issues, WCCW), 『타임(Time)』지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인터뷰. 『타임』은 이를 토대로 "Japan: The Furor over Making Apologies to the Comfort Women"라는 6쪽짜리 기사 게재
1996.07.19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국민기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300여명에게 200만엔의 보상금을 일괄적으로 지급하기로 최종 결정
1996.08.14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국민기금), 필리핀 '위안부' 피해자 4명에게 보상금 전달
1996.10.0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37개 시민단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 결성
1997.01.11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국민기금),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피해자 7명에게 위로금 200만엔과 의료복지금 300만엔, 그리고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 일본 총리의 사과 편지 전달
1997.03
자료 더보기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1996년에 이어 두번째로 일본군 '위안부'는 ILO 제29호 강제노동협약을 위반한 것이므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의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중국 베이징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 북한, 일본 3자 여성회담 개최. 일본 정부에 사죄 및 피해 배상 등을 요청하는 항의문 채택(~1998.10.11)
1998.12.07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 발족
1999.03
자료 더보기
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은 피해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보상책이 아님을 분명히하고, 일본군'위안부'와 강제동원 노동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할 것을 일본 정부에 권고하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국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모임" 주최, UN 인권소위원회 특별보고관 게이 맥두걸(Gay McDougall) 초청 국제심포지엄 개최(~1999.06.05.)
1999.08.26
자료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하원 본회의, 마이크 혼다(Mike Honda) 의원이 상정한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이 저지른 전쟁범죄에 관한 결의안'(Assembly Joint Resolution 27 on War Crime: Japanese Military during World War) 채택. 해당 결의안에는 일본군 '위안부' 등 전쟁범죄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김
한국 국회, 본회의에서 교과서를 통한 과거사 왜곡을 시정할 것을 일본에 촉구하는 '일본국의 역사교과서 왜곡 중단 촉구 결의안' 채택
2001.03
자료 더보기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일본 정부가 조속한 시일 내에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과는 별도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일본 히로시마 고등재판소, 일본군'위안부'피해자와 근로정신대 피해자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일명 관부재판) 항소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냈던 1심을 파기하고 원고 패소판결
2001.04.12
일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편찬한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검정 통과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범정부적 '일본역사교과서왜곡대책반'을 구성
2001.04.21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여 조직된 '일본역사교과서왜곡대책반' 자문위원단과 한완상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겸 부총리 등이 참여한 간담회 개최
2001.04.24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에 관한 진상 규명 특별법' 관련 국회 공청회 개최
2001.05.08
한국 정부, 주한 일본대사에게 2002년판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 8종의 내용 중 강제합병을 미화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누락하는 등의 35개 항목에 대해 공식 수정 요구
2001.05.08
한국ㆍ중국ㆍ일본의 여성 지도자들이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동북아 여성 지도자 회의'를 갖고 '서울여성선언'을 채택. 선언에는 '여성의 시각을 담아 역사를 왜곡 없이 인식하고, 아시아 역사에서 얻은 교훈을 후세에게 올바르게 교육시키도록 노력한다'는 문구가 포함되는 등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에도 대처
2001.05.10
한국 여야 국회의원 4명, 도쿄 지방재판소에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펴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해 출판 및 판매금지 가처분신청 제출
2001.05.16
중국 외교부, 주베이징 일본대사에게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펴낸 중학교 역사교과서 내용 중 식민통치를 미화하고 난징대학살을 은폐하는 부분 등 8개 항목에 대해 수정을 요구하는 비망록 전달
2001.06.02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펴낸 중학교 역사교과서 및 공민교과서 시판 개시.
2001.07.02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과 교과서 출판서 후소샤((扶桑社), 일본 문부과학성에 자신들이 집필·출판한 중학교 역사교과서 가운데 9개 항목에 대한 수정 신청(한국 정부가 수정을 요청한 25개 항목 중 5개 항목 일부 수정)
2001.07.04
여성부 주도로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WIN) 출범. 전 세계 23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 100명과 국내 여성 인사 300여 명 등 400여 명을 초청하고 전 세계 9개 지역별로 대표 선정.
2001.07.09
일본 문부과학성, 2002년판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한민국 정부의 35개 항목 수정 요구 검토 결과 발표. 2개 항목 이외에는 명백한 오류가 아니라며 수정을 거부.
2001.07.24
레인 에번스(Lane Evans)를 비롯한 20명의 미 하원의원,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생존자들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는 결의안 하원에 제출
2001.10.05
한국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와 '전쟁과 여성인권센터', 일본의 '여성·전쟁·인권학회', 연세대학교에서 심포지엄 개최하고 공동 역사교재 편찬에 합의
2001.12.04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최종판결. 히로히토 천황에게 유죄 선고.
2001.12.19
''제2차 세계 아동 성착취 방지 회의' 참석차 방일한 여성부장관이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 및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교수와 면담하고, 일본에서 운영 중인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과 한국 ‘위안부’ 피해자들의 입장 차이에 관해 논의
2002.01.31
자료 더보기
캐나다 NGO '인권과 민주발전을 위한 국제센터(International Centre of Human Rights and Democratic Development)', UN 인권위원회에 서면발언문(Written Statement)을 제출하여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여성법정 판결문을 공식 문서로 채택하고 일본이 이에 대한 국가책임을 인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국가의 배상청구권과 개인의 배상청구권은 다른 것이므로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500차 수요시위 개최. 단일 주제로 개최된 집회로는 세계 최장 기간 집회 기록을 갱신.
2002.05.03
자료 더보기
'북한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희생자위원회'(종태위), 평양에서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아시아지역 토론회" 개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관계자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문필기 등 12명 참석.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 발족에 합의하고, 남과 북, 해외 동포가 함께 일본 정부에 유엔 결의를 준수하도록 촉구하는 서한과 공동 성명 채택(~2002.05.04)
여성부 장관, 일본 오사카 NHK홀에서 열린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 130주년 기념 심포지엄 “21세기의 아시아와 일본-여성지도자들의 제안(21世紀のアジアと日本 - 女性指導者大いに語る)”에 패널로 참석하여 일본의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밝힘
2002.06.01
캐나다 NGO ‘인권과 민주발전을 위한 국제센터(International Centre of Human Rights and Democratic Development)’의 조너선 시쓴(Jonathan Sisson) 대표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처 상황을 질의. 여성부는 UN 여성폭력특별보고관 권고사항에 대해 한국 정부가 2001-2002년 이행한 추진 사항들을 전달
2002.07.16
북한 『노동신문』, 「도덕적 저열성을 드러낸 기만극」이라는 논평을 통해 “일본 지배층이 죄 많은 과거에 대한 사죄와 보상을 회피하려 하고 있다”며 일본이 민간기금에 돈을 기부하는 것으로 종군위안부에 대한 보상을 대신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
2002.07.22
일본 참의원, 일본군'위안부'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 및 보상을 촉구하는 내용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문제 해결 촉진 법안' 심의
2002.08.15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통영거제시민모임 결성
2002.10.15
일본 도쿄 지방재판소, 타이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9명이 일본 정부에 공식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며 제기한 소송 기각
2002.12.11
한국 국회,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을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로 개정
2003.02.08
오카자키 도미코(岡崎トミ子) 일본 참의원 의원, 일본 국회의원으로서는 최초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최 수요시위에 참가
2003.02.25
자료 더보기
한국 국회, '일본국의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문제 해결 촉진 법안의 제정 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일본 국회에 해당 법안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일본 정부에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요구에 응답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미 DC항소법원(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황금주 등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외국주권면제법(FSIA)을 근거로 기각한 하급 법원의 결정을 확정
2004.02.13
서울 행정법원, 일본강점하 피해자들이 한일협정 관련 57개 문건을 공개하라며 외교통상부를 상대로 낸 정보공개 거부처분 취소청구소송에서 "일본을 상대로 소송 중인 원고 53명에게 한일협정 문건 중 손해배상 청구권 관련 5개 문건을 공개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
2004.03
자료 더보기
국제노동기구(ILO) 협약·권고 적용 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CEACR),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 일본 노동자 단체, 한국 노동자 단체들이 보낸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 제출
서울에서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2차회의) 서울대회 개최.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비롯,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등에서 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및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참가하여 증언. 북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상옥 분단 이후 처음으로 한국 방문(~2004.5.23).
일본 도쿄에서 제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60주년의 위안부 문제 해결운동: 가해국 일본의 책임을 묻다" 개최(~2005.02.13.)
2005.03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위원회,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모색하도록 8번째 권고
2005.03.01
여성부, 광복 60주년을 맞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개관
2005.08.05
일본 도쿄 신주쿠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전문 자료관인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WAM, 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개관
2005.08.23
여성가족부, 광복 60주년 기념사업으로 법무부에 중국 거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6명의 국적회복 신청(이후 6명 국적회복)
2005.08.2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한국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대일 배상 청구권 협상을 촉구하는 성명서 발표
2005.08.26
한국 정부, 1951년부터 1965년까지 이어진 한일 회담 전 과정에 관련된 외교문서 156권, 3만5천여쪽을 일반에 공개
2005.10.28
국제엠네스티, 서울과 방콕에서 동시에 기자회견 열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실태조사 보고서 '60년 이상 기다림: 일본군 성 노예제 희생자들을 위한 정의' 발표
2005.11.25
한국과 일본의 여성학자들, 4년에 걸친 공동작업 끝에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와 『젠더 시점으로 본 일한 근현대사』 각각을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 출간
2006.02.22
미 연방대법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황금주 등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각하하고 사건을 종결
2006.03
한국 정부,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간병인 지원 시작
2006.04.04
미국 하원의 레인 에번스(Lane Evans) 민주당 의원과 크리스토퍼 스미스(Christopher Smith) 공화당 의원, 58명의 공동 제안자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이에 대한 교육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미 국회 759결의안) 공동 제출
2006.07.0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09명,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기본권을 침해받았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 청구서 제출
2006.09.13
자료 더보기
미국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민주당 레인 에번스(Lane Evans) 의원과 공화당 크리스토퍼 스미스(Christopher Smith)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교육 등을 촉구하며 공동제출한 결의안(결의안 759) 만장일치로 가결 처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의원 본회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대해 위안소 설치·운영과 '위안부' 이송에 일본군이 관여했음을 시인했던 1993년의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답변. 10월 5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도 고노 담화를 정부는 물론 개인으로서도 계승하겠다고 답변
2007.01.29
일본 도쿄 고등법원, 일본 방송사 NHK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관방부장관과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의원의 압력으로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을 다룬 방송을 왜곡한 혐의를 인정해 유죄를 선고하고 소송을 제기한 'VAWW-NET JAPAN(전쟁과 폭력에 반대하는 일본여성 네트워크)'에 보상금 200만엔을 지불할 것을 판결
2007.01.31
자료 더보기
마이크 혼다(Mike Honda) 미국 하원 의원 등 7명(민주당 의원 5명, 공화당 의원 2명 공동발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공식적 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 121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
외교통상부, 일본 정부가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일본군'위안부'의 강제연행을 부인하려는 입장을 표명한데 대하여 과거의 잘못을 축소하고 역사적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며 강한 유감 표명
2007.03.31
일본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 사업 종료하고 해산. 이후 디지털 기념관 〈'위안부'문제와 아시아 여성 기금〉(www.awf.or.jp) 개설
2007.04.26
자료 더보기
워싱턴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Washing Coalition for Comfort Women Issues), 결의안 121을 지지하는 뉴욕연대(Greater New York Support 121 Coalition) 등의 시민단체, 2007년 4월 26일자 『워싱턴포스트』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광고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진실(THE TRUTH ABOUT "COMFORT WOMEN")' 게재
외교통상부, 대변인 논평 통해 미국 하원 본회의가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한 것을 환영하고 일본의 자세변화를 촉구하는 입장 표명
2007.07.31
자료 더보기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발족 집회 개최됨. 올연대는 미국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 일본 민주당의 선거 승리 등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움직임이 일본 국내외로 전개되는 가운데 본 단체를 결성하게 되었음을 표명하고 일본 정부와 국회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죄·배상 등을 요구
홋카이도 오타루시(2010.6.21), 도쿄 니시토쿄시(2010.6.21), 오키나와현 난조시(2010.6.21), 오키나와현 요미탄촌(2010.6.22), 오키나와현 도미구스크시(2010.6.22), 오키나와현 다라마촌(2010.6.24),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2010.6.25), 오사카 다카쓰키시(2010.6.28) 등 일본 시의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의견서 잇달아 채택.
홋카이도 시베쓰시(2010.9.16), 돗토리현 도하쿠군 호쿠에이정(2010.9.24), 교토부 야와타시(2010.09.29), 홋카이도 하코다테시(2010.9.30), 교토부 기즈가와시(2010. 10. 1) 등 일본 시의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의견서 잇달아 채택.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2009년 12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전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현황 조사를 토대로, 생존 '위안부' 피해자 수, '위안부' 피해자들의 요청 사항, 건강상태, 생활상태와 지원체제,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각국 정부의 자세, '위안부'에 관한 각국 교과서의 서술 등을 담은 팜플렛 발간
이명박 한국 대통령, 일본 교토 영빈관에서 이루어진 한일 정상회담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을 요구. 노다 총리는 '위안부' 평화비의 철거를 주장했으나 이명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의 불충분한 조치가 제2, 제3의 평화비 건립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2012.03.26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에 쓰인 '일본군 성적 노예 문제'라는 표현은 사실과 괴리된 것이며 2011년 12월 한일정상회담 시 이명박 대통령에게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요청했다고 발언
2012.03.28
여성가족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에 쓰인 '일본군 성적 노예'는 사실과 괴리된 표현이라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의 발언에 대해 유감 표명
2012.05.05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개관하고 개관식 개최
2012.05.24
한국 대법원, 강제동원 피해자 및 유족이 일본의 미쓰비시 중공업과 신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취지의 파기 환송 판결 선고.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역사인식·청구권 철저 논의' 집회를 개최. 집회에서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대학(中央大学) 교수는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군의 행동을 옹호하는 발언을 한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앞으로 보내는 '공개질문장' 발표
가주한미포럼,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립공원에 해외에서 최초로 '평화의 소녀상' 제막
2013.08.01
일본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자료와 증언등을 일본어·영어·한국어·중국어로 제공하는 웹사이트 'Fight For Justice'(http://fightforjustice.info) 개관
2013.08.08
미국 캘리포니아 밀피타스 시의회, 미국과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안(8285호) 채택
2013.09.06
여성가족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계획
2014.01.15
미국 하원에서 존 케리(John Kerry) 국무부 장관이 일본 정부에게 2007년 미국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준수를 독려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한 2014년 미국 행정부 통합 세출법안 통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미국 의회의 정식 법안에 포함된 최초 사례
2014.01.24
한미공공정책위원회(KAPAC), 미국 뉴욕주 낫소카운티 현충원에서 뉴욕주 상하원을 통과한 일본군'위안부' 결의안을 새긴 '위안부 결의안 기림비' 제막식 개최
2014.01.30
2014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le Festival International de la Bande Dessinée d’Angoulême)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획전 개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한 작품 20편과 동영상 4편 출품.
2014.02.20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1993년) 검증 조사팀을 정부 내에 설치하겠다고 발언
2014.02.28
대한민국 외교부, 고노담화 검증 조사팀을 정부 내에 설치하겠다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의 발언에 대해 "일본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얼마나 더 많은 고통을 주려하는가"라는 논평을 내고 유감 표명
2014.04.16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1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가 서울에서 개최
2014.05.15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2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가 일본 도쿄에서 개최
2014.05.30
미국 버지니아주 패어팩스카운티 정부 청사 잔디공원에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 건립
2014.05.31
일본 도쿄에서 제12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아베 정권의 폭주를 용서할 수 없다! 세계는 '위안부'문제 해결을 요구한다!" 개최(~2014.06.03.)
2014.06.20
일본 정부, 고노 담화(1993년 발표) 작성 과정에서 한일 정부 간의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결론을 담은 고노 담화 검증 보고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한간의 협의 경위 - 고노 담화 작성에서 아시아 여성기금까지(慰安婦問題を巡る日韓間のやりとりの?緯~河野談話作成からアジア女性基金まで~)"를 공개
2014.06.25
122명의 미군 기지촌 '위안부' 여성들과 '기지촌여성인권연대' 등, 국가가 기지촌을 조성하고 관리하여 성매매를 조장함으로써 원고들의 인권을 침해한 것에 대한 국가대상 손해배상 청구 소송(사건 2018다224408 손해배상(국)) 소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제출
2014.07.23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3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가 서울에서 개최
2014.08.05
일본 『아사히신문』, 식민지 시기 제주도에서 일본군이 다수의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동원했다는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의 증언이 거짓이라고 판단하고 이에 기반해 1980~1990년대에 작성한 자사 기사들을 취소한다고 발표
2014.09.19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4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가 일본 도쿄에서 개최
2014.10.09
일본 『아사히신문』,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의 증언 논란을 계기로 자사의 '위안부' 관련 보도를 검증하기 위해 7인으로 구성된 '위안부보도검증 제3자위원회(慰安婦報道検証 第三者委員会)' 구성
2014.11.27
서울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5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 개최
2014.12.22
일본 아사히신문, '위안부보도검증 제3자위원회'를 구성해 식민지 시기 제주도에서 일본군이 다수의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동원했다는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의 증언을 다룬 기사를 검토하고 검증 결과 보고서 공개
2015.01.19
일본 도쿄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6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 개최
2015.03.01
박근혜 대통령, 3·1절 기념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인권문제는 반드시 풀고가야 할 역사적 과제"임을 강조
2015.03.16
서울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7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 개최
2015.05.21
서울에서 제1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전후 70년,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로 간다" 개최(~2015.05.24)
2015.06.11
일본 도쿄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8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 개최
2015.06.21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 도쿄에서 열림 외교장관회담 참석
2015.09.18
일본 도쿄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논의를 위한 제9차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 개최
2015.09.22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의회,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 건립을 시 행정부에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
2015.11.02
자료 더보기
한국과 일본, 서울에서 한일 정상회담 갖고 조기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합의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 갖고 양국 간에 이루어진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발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총리대신 자격으로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하고, 일본 정부가 10억 엔을 출연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을 확인하는 내용 등이 담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15년 한일외교장관 합의 관련 정보공개 촉구 기자회견을 서울법원 종합청사 앞에서 개최.
2017.06.20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 올연대 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ネットワーク)”, 단체 결성 10주년 기념 집회를 개최하고
일본 정부가 2017년 2월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이 명시된 공문서 19건, 182점을 수령했음에도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비판
2017.06.26
한국 정부, 마이크 혼다 前 미국 연방 하원의원에게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한미동맹에 기여한 공로로 수교훈장 광화장 수여
2017.07.25
한국국가인권위원회, 한일 양국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 필요한 적극적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 발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두 시민단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을위한정의기억재단'이 통합하여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출범
2018.08.10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소" 개소
2018.08.14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정부가 주관한 첫번째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 개최
2018.08.14
타이완 타이난시에 일본군 '위안부'를 추모하는 기념비 제막
2018.08.30
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 2015년 한일 양국 간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 중심적 접근이 아니라고 지적하여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에 '지속적 해결 노력' 권고하는 보고서 공표
2018.08.31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 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일본 정부에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촉구한 것과 관련하여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인종차별철폐조약의 적용 대상이 아니며 일본 정부의 설명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극히 유감이라고 발언
2018.09.16
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 '위안부' 연구센터 설치
2018.11.19
UN 강제실종위원회, 일본에 대한 최종견해에서 사실과 자료 등의 은폐, 이행되지 않고 있는 피해자에 대한 배상,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되었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비판하며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
2018.11.21
여성가족부, 한일 양국 간의 일본군'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이행을 위해 출범한 '화해·치유재단' 사업 종료 및 해산 추진을 발표
2019.01.2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별세
2019.01.21
여성가족부, '화해·치유재단' 법인 설립허가 취소하고 재단에 통보
2019.03.01
자료 더보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여성인권운동가이용수,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국민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