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아베의 개헌 -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자위대 합헌화(제9조 가헌론) 저지를 위하여
저자
이경주 지음
출판사
논형
발행년도
2020
ISBN
9788963574318
주제
사회과학 > 정치학
페이지
520
크기
25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자료유형
자료상태
언어
청구기호
소장처
1
MO03519
단행본
비치도서
한국어
340.913 이14ㅇ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자료센터
초록
일본 전후사는 개헌을 둘러싼 공방의 역사다
2020년 아베 수상은 헌법 제9조의 개헌을 공언했다. 비무장 평화주의를 규정한 제9조를 일단 놓아둔 채 자위대를 제9조의 2(또는 제9조 제3항)를 덧붙여 명문화하려는 것이다. 이번 개헌 책동은 일차적으로 일본의 자위대를 합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이차적으로는 일본국 헌법 제9조(비무장 평화주의)를 무력화하고 대미 종속하의 군사 대국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일제 강점과 침략전쟁을 경험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각국은 이를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은 아베를 비롯한 일본 개헌세력의 개헌론이 아시아 지역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의 헌법 정치에 미치는 의미를 분석하고 동아시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길을 모색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아베와 개헌]
1장 아베 정권 하 개헌 논의의 현상과 본질
1. 전후 최초! 일정을 특정한 개헌론자 아베/
2. 전후 개헌론을 이어받은 아베의 개헌/
3. 집념의 개헌론자, 아베/
4. 아베 개헌론(가헌론)의 위험성
2장 자위대 한반도 상륙의 길을 열려는 안보관련법
1. 들어가는 말/
2. 자위권론의 전개과정/
3. 집단적 자위권 용인의 논리구조/
4. ‘안보관련법’의 위헌성/
5. 일본의 ‘안보관련법’과 한반도 평화
3장 일본 평화헌법의 아시아적 문맥
1. 들어가는 말/
2. 일본 평화헌법의 탄생과 아시아/
3. ‘일본으로부터의 안보’에 도전하는 ‘안보관련법’과 아베의 가헌론/
4. 일본국 헌법의 아시아적 문맥과 평화/
5. 맺음말
[2부 일본국 헌법의 제정과 동북아시아]
1장 일본국 헌법의 제정과 평화주의
1. 일본국 헌법과 평화주의/
2. 전쟁책임과 일본국 헌법 제9조
2장 일본 근현대사와 평화주의 사상
1.들어가는 말/
2. 일본 근현대의 평화주의 사상과 평화의식/
3. 전후 일본의 평화의식/
4. 맺음말
3장 일본국 헌법 평화주의의 한계
1. 기로에 선 일본국 헌법의 평화주의/
2. 피해자로서의 평화주의와 가해자로서의 평화주의/
3. 전쟁책임 몰각한 국민개념/
4. 가해자로서의 평화주의를 위하여